이번 포스팅은 오랫동안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하면서 문제가 많다고 생각했던,
IDEA 내 Emulator가 아닌 자신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무선 디버깅 시도를 하였을 때,
상당히 여러번 실패 시도를 거쳐야 연결되는 이슈로 인해서 문제를 겪었기 때문에
맘편하게 터미널로만 디버깅을 시도해서 여러 시도 없이 한 번에 무선 디버깅을 하는 방법을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.
(1) 사전 준비
- Android Studio의 Local Terminal 창
- 무선 디버깅이 가능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
이렇게 두 개가 필요합니다.
또한, 무선 디버깅 시도 시에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는 1개의 IP 주소와 2개의 Port가 존재할 텐데,
해당 과정에서 두 종류의 Port Number를 다 사용한다는 것을 인지해 주시면 됩니다.
아래의 46247은 기기의 Port Number이고 해당 값은 고정입니다.
45719은 페어링 시도 시 Port Number이고 해당 값은 페어링을 시도 할 때마다 변경됩니다.

(2) 페어링 단계

adb pair "IP Address: Port Number" 를 Terminal에 입력
위 사진에 있던 페어링 시도 시 페어링 코드와 IP주소, 포트 번호를 위와 같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터미널에 입력합니다.
페어링을 시도하려고 다이얼로그를 띄울 때마다 코드와 포트 번호가 바뀌니 한 번에 하시길 바랍니다.
성공 시, 연결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스마트폰 사이의 페어링이 완료됩니다.
혹시나, Connection Error가 발생한다면, User/사용자이름/Android/SDK/platform-tools 내부의 adb의 경로에서
./adb kill-server
해당 명령어를 실행 후 다시 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
(3) 연결 단계

adb connect "IP Address: Port Number" 를 Terminal에 입력
여기서는 페어링 단계에 있던 포트 번호가 아닌, 기기의 포트번호와 함께 IP 주소를 터미널에 입력합니다.
그러면 해당 메시지와 함께 연결이 완료됩니다.

(4) 후기
해당 포스팅을 작성하게 된 이유는
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성능이 IDEA 내부의 Emulator 보다 성능이 높아서
무선 디버깅으로 하려는 경우가 많은데,
생각보다 범블비 버전 이후에 나온 QR코드로 연결하는 방법이 생각보다 잘 안되는 경우가 많아서
열심히 구글링을 하다가 터미널로 직접 연결하는 방법을 찾게 되어 나중에 안까먹으려고 올립니다.
해당 방법은 최소한 왜 연결이 안되는지 이유가 명확하게
터미널에서 예외처리 되어 드러나기 때문에,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.
'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.gitignore 작성법 & 추가해도 계속 변화를 감지할 시 해결방법 (2) | 2024.02.27 |
---|---|
[Android] Project에 ktlint 적용하기 (0) | 2024.02.19 |
[Android] BuildSrc과 Kotlin DSL을 이용한 Dependency 관리 (0) | 2024.01.02 |
[Android] Stream Chat SDK를 통한 인앱 채팅 시스템 (0) | 2023.11.16 |
[Android] Hilt (0) | 2023.10.27 |